“닮아서 연기금지…” 참기름 팔아 겨우 버텼던 배우의 비극

1946년생 배우 박용식은 전두환과 닮은 꼴로 유명하다.


고등학교 때 연기를 꿈꾸며 연극 활동을 하다가 대학 2학년 때 선배들의 눈에 띄어 김용건과 함께 극단에 들어가 본격적으로 연기를 시작했다.

1967년에는 도요방송 사달란트의 유명한 조연으로 활약했다.

그러나 1980년대 그에게 큰 시험이 찾아왔다.

콴두환이 쿠데타로 집권한 후 콴두환처럼 생겼는데 콴두환 닮았다는 이유만으로 TV에서 금지당했다.


약 5년 동안 TV에 출연하지 않다가 노태우 정부가 들어선 뒤 방송 활동을 재개할 수 있었다고 한다.

이후 ‘제3공화국’, ‘4공화국’ 등 정치 드라마에서 전두환 닮은꼴로 널리 알려지며 인기를 얻었다.

그는 한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한 뒤 “상상한다, 상상하다 보니 그런 연기를 해서 제재를 받을 줄은 몰랐다”고 말했다.


이어 박용식은 “연기할 수 없으니 고생한 게 당연하다. 7년 동안 모자 쓰고 참기름 장사했는데 너무 화가 난다”고 말했다.

지금은 상상도 할 수 없는 이유지만, 당시 방송계에서는 정치적 발언만을 위해 방송을 중단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전두환은 박용식의 출연을 사실상 금지한 적은 한 번도 없다고 전해져 신군부와 방송인의 지나친 충성심에 희생양이 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던 중 1991년 박용식은 서울 연희동에 있는 전두환의 집에 초대되어 정중한 만남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전두환은 “박용식 씨가 나 때문에 많이 힘들어했다는 소식을 듣고 놀랐다.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전두환은 청와대에 서한을 제출하면 바로 해결될 것이라며 유감을 표명했다.


이 사건에 대해 박롱지는 “그때 너무 많은 피와 눈물을 흘렸다. 좋은 건 영원할 수 없다는 걸 그 때부터 늘 생각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또한 전두환과의 만남에 대해서는 “정말 부끄러웠다”, “인생에 피할 수 없는 인연이 있는 것 같다. 전생에 인연이 있었던 것 같다”고 말했다.

방송에 복귀한 그는 또 다른 시험에 직면했다.

‘시선’ 촬영 차 한 달간 캄보디아를 찾은 박용식은 촬영 말미 설사를 동반한 심한 통증을 호소했다.

나머지는 빨리 먹고 일찍 집에 돌아온 박용식은 유비자균에 의한 패혈증을 앓고 있는 자신을 발견했다.

동남아시아의 토양과 오염된 물에 퍼지는 곰팡이에 감염되면 고름이 장기를 가득 채워 폐렴과 패혈증을 일으킨다고 한다.


백신 부족으로 치사율이 40%에 이르는 질병을 앓던 박용식 씨가 경희대병원에서 치료를 받던 중 숨졌다.

67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는데, 이는 국내 유비박테리아로 인한 첫 사망이다.

많은 팬들과 시청자들이 그의 죽음을 애도했고, 다사다난했던 배우로서의 삶을 마감하며 행복을 찾는 듯했다.